OS 5

리눅스의 역사

유닉스(Unix)의 탄생 유닉스는 자료와 정보의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다중 사용자와 멀티 태스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1969년 미국의 켄 톰슨 (Ken Tompson)에 의해 개발되었다. Unix는 어셈블리 언어(특정 기종에서만 사용 가능한 언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른 기종의 컴퓨터에서는 해당 컴퓨터의 어셈블리 언어를 이용해 운영체제를 다시 작성했어야 했다. 이런 기종간 호환을 만족시키고 프로그래밍 작업의 통일성과 효율성을 위해 어셈블리 언어가 아닌 새로운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고안해 냈습니다. 이 새로운 언어는 CPU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방식으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특정 기종에 최적화시켜 거쳐 실행 코드를 만드는 설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언어를 통해 다른 기종의 ..

OS 2024.03.23

운영체제의 종류와 리눅스의 계열

운영체제 종류 1. 유닉스 (Unix) 운영체제의 시초이다. 윈도우를 제외한 모든 운영체제가 유닉스 계열 유닉스의 대부분은 C언어로 만들어져 있다. 2. 윈도우 (Windows) 유닉스 계열이 아니다 보니 운영체제가 달라 프로그래밍 언어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거나 따로 만들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AI와 같이 빠르게 변화하는 업계에는 위와 같은 특징으로 불편한 점이 많다고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윈도우 내부에 리눅스 계열의 OS를 설치할 수 있도록 WSL을 지원한다. 3. 맥OS(MacOS) 애플 계열 전용 OS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로 개발에 사용되는 서버와 호완성이 좋다. 4. 리눅스(Linux) 모바일 운영체제(안드로이드 , iOS)는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

OS 2024.03.23

OS의 정의와 발전 과정

교육 코스 중에 발표에 걸려 OS의 정의와 리눅스에 대한 역사를 발표하게 되었다. 발표하면서 정리한 내용을 적어본다. 1.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란?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하드웨어를 관리한다 : 주어진 하드웨어 자원이 소프트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스템을 편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OS 도 소프트웨어의 일종이다.) 운영체제의 기능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파일 및 정보 등 관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케줄링 기능 제공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관리 및 제어 데이터 관리 및 자원 공유 기능 입출력 보조 기능 제공 시스템 검사 및 복구 운영체제의 목적 처리 능력 : 일정 시간 동안 수행되는 처리의 양 응답 시간 : 작업이..

OS 2024.03.21

Thread(스레드)

Thread 스레드 컴퓨터의 기본 작업 실행 단위. 하나의 스레드는 하나의 작업이다. 스레드는 크게 물리 스레드(Physical thread)와 논리 스레드(Logical thread) 로 나뉘어진다 물리 스레드: CPU 코어에서 동시에 실행할 수 작업의 개수를 뜻함 논리 스레드: OS에서 다루는 작업들이다. 논리 스레드가 실제로 실행이 되려면 물리 스레드에 작업이 인계(스케줄링)가 되어야 한다. 때문에 OS는 현재 실행 예정인 논리 스레드를 스케줄링 전략(process scheduling)에 따라 물리 스레드에 넘겨줘서 작업을 실행시킨다. 하나의 프로세스는 기본 1개 이상의 논리 스레드로 실행이 된다. OS는 프로세스의 스레드들을 스케줄링 전략에 따라 CPU의 물리 스레드에게 넘겨줌으로써 멀티태스킹을 ..

OS 2023.12.09

정규표현식 과 리눅스 명령어

파일의 권한 r w - 읽기 쓰기 사용가능 4 2 1 파일의 권한 변경 : chmod chmod [파일권한] [변경할 파일 위치 또는 이름] chmod 777 hello.txt /*숫자는 순서대로 /소유자 /그룹 /그외 사용자를 의미함*/ 소유권 변경 : chown root 권한이 있어야 실행 가능 chown [소유할유저]:[소유할그룹] [소유권 변경하고 싶은 디렉토리 or 파일 명] 디렉토리 생성 : mkdir 빈파일 생성 : touch touch [생성할 파일 이름] 형식으로 사용 touch [디렉토리 경로/파일 명] 사용 가능 디렉토리 삭제 : rmdir 비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 지정한 디렉토리에 파일이 있을 경우 삭제 불가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 rm rm [option] [삭제할 파일 및 디..

OS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