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2

REST와 RESTful

REST와 RESTful의 개념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에 의한 상태 전달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 REST 개념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를 통해 해..

HTTP 2023.12.20

HTTP 정리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요청과 응답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서버는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 응답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 예) 로그인이 필요없는 서비스 상태 유지(Stateful) 로그인된 후 제공 되는 서비스 같이 서버가 해당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경우 쿠키와 세션을 통해 상태 유지 GET /search?q=hello&hl=ko HTTP/1.1//시작 라인 Host: www.google.com//헤더 //공백 HTTP 메시지 구조 start-line (시작 라인) header (헤더) empty line (공백 라인 (CRLF)) message body 요청 메시지 시작 라인 start-line은 reque..

HTTP 2023.01.02